본문 바로가기
ETC

쿠팡플렉스 후기 및 급여(단가), 필수 준비물

by Decker 2021. 1. 6.
728x90
반응형



'쿠팡플렉스(Coupang Flex)'는 쿠팡의 배달원을 말합니다. 쿠팡플렉스는 소비자가 주문한 물건을 배송해주는 역할을 하는데 정직원 즉 본업(전업)이 아닌 투잡, 파트타임으로도 할 수 있기 때문에 부업으로 최근 많은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현재 '쿠팡캠프'라는 이름으로 서울/경기도/광역시 등의 대도시를 위주로 운영되고 있으며 점차 소도시로 그 영역을 넓혀가고 있는 중입니다. 

 



앞서 말했듯 쿠팡플렉스는 초보도 충분히 가능한데 쿠팡 측에서 메뉴얼을 제공하기 때문에 운전만 가능하다면 남녀성별 상관없이 가능합니다. 차는 본인 차를 이용해 배송하기 때문에 부부나 친구끼리 하는 경우도 많다고 하네요. 또한 상품을 상하차 할때 필요한 작업용 장갑, 택배박스를 분류할 때 필요할 때 필요한 매직 펜(배달할 곳을 크게 적어 오배송을 줄일 수 있음), 수레(피로도/노동강도를 줄일 수 있음)가 준비물이자 필수품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쿠팡플렉스 신청 절차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을 위해 간단히 요약하자면, 먼저 쿠팡플렉스 앱을 설치합니다. > 카카오톡을 열어 쿠팡플렉스 지역 오픈채팅방에 참여 > 자신이 원하는 배송시간 링크를 통해 신청합니다(신청 후 확인 메세지가 오는데 만약 신청인원이 많거나 블랙리스트(오배송 3회 이상/잦은 배송취소 등)로 확정된 상태라면 배정을 못받을 수도 있다고 해요) > 배정이 완료되면 해당 지역 쿠팡캠프에 방문하여 배정받은 택배물을 분류/적재 > 배송완료 순으로 진행됩니다. 이렇게 몇 가지 절차를 거쳐 일하게 되는데 급여는 얼마나 될까요? 

 



쿠팡플렉스는 일한만큼(배달한 만큼) 수입이 발생하는 구조입니다. 일했다고 발생하는 기본급여나 사대보헙이 없기때문에 본인이 많이 벌고자하면 많이 일해야하고 적게일하면 적게벌게되는 것이죠. 따라서 급여는 '개당 단가'에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는데요. 주간배송/심야배송/새벽배송 마다 각각 개당 단가가 다르게 매겨져 있습니다. 주간배송은 오전 10시부터 저녁 9시까지를 말하고 심야배송은 오전12시부터 오전 7시까지, 새벽배송은 오전3시부터 오전 7시까지를 말합니다.




당연히 심야/새벽배송의 단가가 50% 정도 더 높은 편인데 최근 많은 분들이 실직함에 따라 심야/야간 쿠팡플렉스 배달원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라고 합니다. 또한 포장에 따라서도 개당 단가가 다르데 박스포장이 비닐포장보다 단가가 높다고 하네요. 아무래도 부피나 무게 면에서  대체로 더욱 많은 힘과 노동을 필요로하기 때문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하지만 박스가 무겁다고 단가가 더 나가고, 박스가 가볍다고 단가가 덜 나가진 않는다고 하네요. 참고로 이 단가는 쿠팡플렉스 배달원이 정할 수는 없다고 합니다. 이에 따라 쿠팡플렉스 급여 계산방법을 크게 나누면 박스포장 단가 X 배송완료 횟수 = 1, 비닐포장 단가 X 배송완료 횟수 = 2 라고 정했을 때 1과 2를 합친 것에 3.3%(원천징수)를 제외한 금액이 최종 본인의 쿠팡플렉스 급여가 됩니다.


 

 

 

 

만약 일을 하기로 했는데 급한 일이 생겨서 배송일정을 취소하거나 도중에 문제가 생긴다면 추후 쿠팡플렉스 선정 시 불이익을 받을 수도 있으며 매일 다른 갯수의 포장재 종류, 수량(지역마다 차이있음)등 랜덤으로 단가가 다르게 나오기에 출근을 많이할 수록 아무래도 더 많은 급여를 받게 됩니다. 더욱이 꾸준히 이 일을 부업이나 전업으로 이어가고자 하시는 분들은 성실하게 매일 출근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다만, 다른 일을 겸한다던가 밤에 일하게 되면 피로가 누적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본인의 체력과 스케쥴을 잘 조절해야합니다.

 

 

 

 

쿠팡플렉스 후기들을 살펴보면 현재 이 시국으로 인해 참여자수요가 높아지면서 단가는 점점 내려가는 추세라고 합니다. 또한 본인 차를 이용하기 때문에 기름값이 많이 드는 차라면 다시 한 번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고 하네요. 또한 자신의 체력과 스케줄을 생각해 맡은 업무를 잘 수행할 수 있다면 한 번쯤 도전해보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합니다.

반응형

댓글